1부. 호기심 있는 질문이 모든 교육의 출발이다.
chapter1. 왜 질문하는 수업인가?
01. 하브루타란?
-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, 토론, 논쟁하는 것
- 학교: 교사가 학생들에게 질문하며 수업하는 것
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서로 가르치면며 토론하는 것
- 뇌를 격동시키는 교육 → 생각하게 만드는 것
- 질문은 생각할수 밖에 없게 만든다
why? 상대의 말을 들으면서, 반박할 말과 논리를 생각 해야함
- '생각하는 힘'
- 뇌 신경 가소성 → 뇌 발달 → by 능동적 주의 → 학습자 주도 학습
02. 암기할 것인가,생각할 것인가?
- 교육이란,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
- 지식을 잊어버린 뒤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것 → 체험한 것, 생각한 것만 오래 간다.
- 생각하는 힘: 논리적인 사고력, 문제해결력, 창의성, 통찰력
- 경험 기억: 과거 경험이 연겨된 기억
지시기억: 어떤 계기가 없으면 잘 떠오르지 않는 지식
- 지식 기억 → 경험기억 : how: 정보의 설명
03. 자기 주도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, 내적 동기
- 동기: 하고싶은 마음
- 내적 동기만이 가장 오래 지속, 보람을 찾게 함
- 자신이 가치 있는 일을하고 있다는 느끼는 순간, 자신을 헌신 가능
☞So, 스스로 찾아 배우게 하기 위해서는
①공부와 배움 그 자체에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하고
② 그 과정에서 가치와 보람을 찾기
- 작은 성공의경험 → 자존감이 높아직 자신감이 생김
[내적 동기 높이기]
- 호기심 키워주기
- 호기심과 자신감이 밀접한 관계
- 아이의 질문에 대한 바람직한 방법
① 궁금해하는 것만 간단히 대답
② 생각할수 있는 질문 제공
- 집중 과정에 몰두하도록 돕기, 느긋하게 기다려주기
- 질문에서 배우기
[메타인지]
- 메타인지: 인지 위의 인지/ 사고방식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정신적 과정
-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
-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 지 구분할 수 있는 능력
- 선행학습보다 복습이 중요
[메타인지 향상하기]
- 메타인지 구성 요소: 계획(설계), 점검(평가, 수정, 보완), 조절(피드백)
- 메타인지 향상: 설명, 가르치기
하브루타는 서로 설명하는 형태의 수업이다.
이것은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그 과정에서 메타인지가 발달한다.
'교실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문이 있는 교실 (3), 하브루타수업연구회, 2015 (0) | 2017.11.11 |
---|---|
질문이 있는 교실(2), 하브루타수업연구회, 2015 (0) | 2017.1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