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부. 호기심 있는 질문이 모든 교육의 출발이다.
chapter2. 질문하는 수업은 어떻게 할 것인가?
01. 교실 속 두가지 의미, 저요 저요!
- ①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단순 대답
② 선생님의 수업에 대한 질문
- 우리 수업에서는 ②번 질문이 더 요구된다.
02. 떠들면서 하는 공부, 하브루타
- 하브루타: 둘 이상 짝지어서 공부하는 것
쉬우르: 랍비와 학생이 질문,토론,논쟁하는 것
- 논의와 토론은 고등사고력을 높일 수 있다.
- 논의와 토론의 결과보다 그 과정이 소중하다.
- 온몸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내용을 깊이 생각한다.
03. 하브루타를 수업에 적용하는 가장 쉬운 방법
- 활용방법 ①교사 설명 30분 후 친구가르치기 10분
②40분 친구가르치기
- 친구 가르치기 방법 : 친구를 가르치면 내용의 90%가 남는다.
- 협력이 필수적, 짝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가 좋음
- 가르치는 사람: 논리적인 근거를 들어서 설명
듣는 사람: 답변, 반박, 논쟁하며 듣기
04. 친구가르치기로 하브루타 수업하기
<과정>
내용 공부하기
▷ 친구가르치기 → 배우면서 질문하기 → 입장바꿔 가르치기
▷이해못한 내용 질문하기 → 쉬우르
<자세한 설명>
㉠ 친구 가르치기 준비
- 내용 공부하기 ① 교사가 핵심만 가르치기 (by질문과 토론)
② 학습 내용을 반으로 나눠 여러 방법으로 공부하기
㉡ 친구 가르치기 (입장1)→
- 에피소드 기억 활용하기 : 상호간의 에피소드가 형성됨 + 복습 효과
- 철저한 자료 조사
- 교실 앞으로 나가 자신의 친구에게 설명할 기회 주기
㉢ 배우면서 질문하기 (입장2)
- 열심히 질문하는 것이 주요 역할
- (미술 감상) 명화를 보며 자문자답 하브루타 하기
- 철저한 자료 조사
㉣ 입장 바꾸기
- 가르치는 입장과 배우는 입장을 바꾸어 재설명하기
㉤ 이해하지 못한 내용 질문하기
- 교사에게 질문하는 시간
- 하브루타의 한계점 극복
㉥ 쉬우르
- 교사가 강의하는 시간이 X
- 학생과 교사가 질문과 대답을 통해 하브루타로 진행
05. 하브루타 수업과정 및 모형
<기본 과정>
질문 → 짝토론 → 모둠토론 → 발표 → 전체토론(쉬우르)
<자세한 설명>
㉠ 질문
- 질문만드는 시간 중요. 집에서 미리 만들어오기. 시간이 없다면 1인당 2~3질문
㉡ 짝토론
- 말하는 사람: 논리, 증거로 방어
질문하는 사람: 질문, 반박으로 공격
- 가장 좋은 질문 1개 선정
㉢ 모둠 토론
- 돌아가면서 질문을 제시하고 그 질문에 대해 서로 답변, 반박, 재질문
- 가장 좋은 질문 1개 선정
㉣ 발표
- 모둠별 1사람이 정리해서 발표
- 교사: 추가로 설명해야 하는 부분 생각
㉤ 쉬우르
- 설명 X
-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들에 대해 질문
[하브루타 수업 모형]
질문 중심 하브루타 | ||
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|
논쟁중심 하브루타 | ||
비교중심 하브루타 |
|
하브루타에서는 학생들의 질문 만들기가 중요하며
좋은 질문을 계속해서 찾아내가는 활동을 한다.
교사가 함께하는 쉬우르에서는
일방적인 강의가 아니라 교사와 함께하는 논의와 토론의 연속이다.
'교실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문이 있는 교실 (3), 하브루타수업연구회, 2015 (0) | 2017.11.11 |
---|---|
질문이 있는 교실(1), 하브루타수업연구회, 2015 (0) | 2017.1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