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! 초등생활 궁금증을 해결해드리고 싶은 하하샘입니다!
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.
독자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정보들을 풀어나가며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~
궁금한 점이 생기면 댓글로 남겨주세요^^
"이사 계획이 생겨서 초등학교 전학을 해야할 것 같아요. 필요한 서류가 있나요?"
"전학 갈 때 부모님이 알아둬야하는 것이 있나요?"
이사, 아이의 전학은 가정생활에 큰 이슈입니다.
전학은 처음이라 어렵고 막막하게 느껴지시는 분들을 위해 도움을 드리고 싶어 쓰는 글입니다^^
현재 학교 담임선생님께 알리기
아이의 이사와 전학이 결정되었다면, 최대한 빨리 학교 담임선생님께 알려주세요.
전학 갈 아이와 관련된 서류(생활기록부 등)를 준비할 시간이 필요합니다.
또, 학년이 바뀌는 경우라면 1명의 학생으로 학급당 인원수가 결정되기도 하는 중요한 사안이 됩니다.
급하게 전학이 결정된 경우가 아니라면 최소 한 달 전에 전화해서 전학 예정 사실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전학 갈 학교 교무실에 전화하기
전학보내게 될 학교 교무실(대표번호)로 전화해서 전학 예정사실을 알려주세요.
마찬가지로 빨리 알릴수록 좋습니다.
학교 대표번호로 전화를 하시면 전학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사님과 통화할 수 있습니다.
"10월 중순에 00초로 전학을 보내려고 합니다. 아이는 5학년이구요.
전학가기 전에 준비해갈 것이 있을까요? 교과서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?"
라고 여쭤보시면, 각 학교 사정에 맞게 안내해주실 거에요.
이사하는 곳의 학군, 학교를 모른다면? 학군 검색하기!
네이버에서 주소를 검색 하면 이사지역의 학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 학교의 대표번호로 전화해서 문의해보세요.
전학가는 날 꼭 부모님이 함께 가야하나요?
가급적 아이와 함께 가주세요.
아이가 5-6학년이라면, 전학 당일날 부모님이 함께 가지 않아도 되긴합니다.
하지만 그런 경우, 전학 당일 이전에 부모님이 미리 가서 교무실에서 필요한 절차를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.
스쿨뱅킹 자동이체, 개인정보 동의서, 학교 알리미 앱 정보, 온라인 수업 정보, 새로운 학급의 주간학습안내 등
또, 새로운 학교와 학급에 가야하는 아이가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
아이와 함께 학교를 둘러보는 시간을 미리 갖는 것을 추천합니다.
교과서 가져가기
[학기 중에 전학가는 경우]
국정교과서(국어,수학,사회,과학,도덕)는 모두 새학교에서도 사용하니까 가져갑니다.
검정교과서 (음악,미술,체육,실과,영어)는 새학교에서 쓰는 출판사와 동일한 것만 가져갑니다. 출판사가 다른 교과서는 파악하여 새학교에서 새 책을 주실거에요.
[학년 말, 학기 말에 전학가는 경우]
8월이나 1월 2월에 전학가는 경우에는 꼭 기억해두세요.
예전학교에서 모든 교과서를 받아가야 합니다.
국정교과서는 새 학교에서 주지 않습니다.
검정교과서만 새 책을 주실 거에요.
아이들에게 '전학'은 큰 사건입니다. 전학을 오고 간 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오랫동안 그 일을 기억하더라구요.
요즘은 생활기록부 등이 전자문서로 모두 처리되기 때문에 따로 챙길 서류는 없으니
초등학교 전학절차는 비교적 간단한 편입니다.
기존 담임선생님과 새 학교에 연락을 빨리 주시는 것만 기억하면, 전학 절차 자체는 복잡하지 않아요~^^
'초등 생활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초등생활! 현직교사 Q&A] 가정에서 체벌하시면 안됩니다. 체벌은 훈육이 아니에요. (0) | 2021.10.04 |
---|---|
[초등생활! 현직교사 Q&A] 생존수영 꼭 가야하나요? (1) | 2021.10.02 |
[초등생활! 현직교사 Q&A] 학부모 공개수업, 꼭 가야 할까요? 무엇을 봐야 하나요? (0) | 2021.10.01 |
[초등생활! 현직교사 Q&A] 초등 수학 선행학습은 얼만큼 해야 할까요? 예습은 필요할까요? (1) | 2021.09.28 |
[초등생활! 현직교사 Q&A] 학교폭력 신고하려고 해요. 사안처리 절차가 궁금합니다. (1) | 2021.09.27 |